클래식 앨범 발매 전, 꼭 알아야 할 준비 가이드
클래식 앨범을 디지털로 발매하려는 연주자와 음악인 여러분을 위한 완전 가이드를 준비했습니다.
클래식 음원은 일반 대중음악과 완전히 다른 표기법과 규정이 있으니, 발매 전 반드시 확인해주세요.
특히 1750~1820년대 클래식 시대 작품을 연주한 앨범이라면 더욱 중요합니다!
📌 이 글은 이런 분들께 추천해요
- 직접 연주한 클래식 곡을 디지털 음원으로 발매하고 싶은 연주자
- 앙상블, 오케스트라, 합창단 등 클래식 프로젝트를 운영 중인 팀
- 음원 유통 플랫폼에 클래식 앨범을 올리는 방법이 궁금한 음악인
🎼 클래식 앨범 발매의 특별함
클래식 앨범은 일반적인 대중음악과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Apple Music Classical과 Spotify의 클래식 섹션에서는 학술적 표준에 맞는 정확한 제목 표기를 요구합니다.
📋 주요 사항 4가지
1. 클래식 장르 정의
- 1750~1820년대 작곡된 작품만 ‘Classical(고전파 음악)’ 장르 선택 가능
- 바로크(1600~1750), 낭만파(1820~1900)는 다른 장르로 분류 (주로 Instrumental로 표기)
- 시대 구분을 정확히 확인하지 않으면 등록 거부될 수 있음
2. 앨범 제목 표기법
- 동일 작품 전곡 수록 시:
[Major Work Title] in [Key], [Opus Number]
형식 필수 - 학술적 표준을 준수해야 하며 임의 번역이나 설명 추가 금지
- IMSLP등에서 정확한 표기 확인 후 사용
3. 트랙 제목 4요소 원칙
[Major Work Title] in [Key], [Opus Number]: [Movement Title]
형식- 4요소 중 일부가 없는 작품은 해당 부분 생략
- 연주자 개인 취향의 부제목이나 설명 추가하면 반려
4. 작곡가 크레딧 의무화
- 각 트랙별로 원작곡가를 Composer란에 반드시 표기
- C Line에 작곡가 이름 및 작곡 연도 필수 입력
- 연주자(performer)와 작곡가 역할을 명확히 구분해야 함
👥 아티스트 역할 제대로 설정하기
클래식 앨범에서는 각 연주자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 Primary Artist (주 아티스트)
- 지휘자, 앙상블, 합창단, 오케스트라
- 주요 솔로 연주자 (예: 바이올린 솔리스트, 피아니스트 등)
❌ 개별 연주자 전원 표기 금지
합창단이나 앙상블 멤버 한 명 한 명을 모두 아티스트로 등록하면 반려될 수 있어요.
예시
- ✔️ Primary: Berlin Philharmonic, Herbert von Karajan
- ✖️ Primary: Berlin Philharmonic, Kim Sooho, Park Jiwoo, Lee Mina…
🎵 클래식(Classical – 고전파 음악) 장르 선택 기준
진짜 ‘클래식(고전파 음악)’은 1730~1820년대만!
많은 분들이 바흐, 모차르트, 드뷔시를 모두 ‘클래식’ 작곡가라고 생각하시지만,
루트노트에서 의미하는 ‘Classical’ 장르는 1730~1820년대 고전파 시대에만 적용됩니다.
1730~1820년대 클래식 시대 작곡가들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1756-1791)
-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 (1732-1809)
- 루트비히 판 베토벤 (1770-1827)
다른 장르로 분류해야 하는 경우
- 바로크 시대 (1730년 이전): 바흐, 헨델, 비발디 → Instrumental 또는 Vocal(성악) 장르
- 낭만파 시대 (1820년 이후): 쇼팽, 리스트, 브람스, 드뷔시 → Instrumental 또는 Vocal(성악) 장르
- 현대적 편곡이나 크로스오버 → 해당 스타일 장르
⚠️ 중요사항 ⚠️
바로크나 낭만파 작품도 앨범 제목, 트랙 제목, 작곡가 크레딧 등
클래식 음악 규정을 모두 동일하게 적용해야 합니다.
장르 태그만 다를 뿐입니다.
📝 앨범 & 트랙 제목 작성법
IMSLP과 같은 사이트를 참고하면 좋습니다.
🔗 IMSLP 사이트: imslp.org
앨범 제목: 동일 작품 전곡 수록 시 형식
형식: [Major Work Title] in [Key], [Opus Number]
앨범 제목 예시
- Album title: Violin Concerto No. 1 in G Minor, Op. 26
- Primary artist: Cornwall’s Hardest Orchestra
- Composer: Max Bruch
트랙 제목 기본 형식
형식: [Major Work Title] in [Key], [Opus Number]: [Movement Title]
트랙 제목 예시
- Symphony No. 7 in A major, Op. 92: II. Allegretto
- Czech Suite in D major, Op. 39: V. Finale
- Violin Concerto No. 1 in G Minor, Op. 26: II. Adagio
특정 요소가 없는 경우
- 조성이 없는 경우: Abdelazer, Z.570: II. Rondeau
- 조성이 없고, 단일 곡인 경우: Salut d’Amour, Op. 12
별명이 있는 경우
- Piano Sonata No. 14 in C-sharp minor, Op. 27, No. 2, “Moonlight”: I. Adagio sostenuto
- Variations on an Original Theme, Op. 36 “Enigma”: Var. IX. Nimrod
⚠️ 주의사항 ⚠️
트랙이나 앨범 제목에 ‘클래식’과 같은 클래식 발매에 대한 설명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작곡가 크레딧 설정 방법
트랙 레벨 Publishing Details
- 각 트랙마다 원작곡가를 Composer 역할로 표기
- 반드시 풀네임 사용 (예: Ludwig van Beethoven)
- Primary Artist에 작곡가 표기하면 안됨
올바른 예시 vs 잘못된 예시
✅ 올바른 예시
- Primary Artist: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 Composer: Wolfgang Amadeus Mozart

❌ 잘못된 예시 1: Mozart (축약된 이름 사용)

❌ 잘못된 예시 2: 작곡가가 Primary Artist에 포함

⚠️ 중요사항 ⚠️
- 바로크나 낭만파 작품도 앨범 제목, 트랙 제목, 작곡가 크레딧 등
클래식 음악 규정을 모두 동일하게 적용해야 합니다. (장르 태그만 다를 뿐입니다.)- 앨범과 트랙 정보에 모두 기입이 올바르게 되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 C Line 및 P Line 규정
- C Line: 앨범 내 모든 작곡가 + 가장 이른 작곡 연도
- P Line: 연주 녹음의 저작권자 (연주자 또는 소속사)
예시
- ⓒ 1787, 1791 Wolfgang Amadeus Mozart, Franz Joseph Haydn
- ℗ 2025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 자신의 곡을 전세계로 유통하고 싶다면?
내가 만든 음악을 무료로, 쉽고 빠르게, 전세계로 유통하고 싶으신가요?
Korea@routenote.com 으로 문의 바랍니다.
👇 루트노트 홈페이지로 이동하기 👇
RouteNote: Digital Music Distribution
#Routenote #루트노트 #무료음원유통 #해외음원유통 #해외앨범발매 #globalmusicdistributioncompany #클래식음원유통 #클래식앨범발매 #1750년대클래식 #1820년대클래식 #모차르트앨범발매 #베토벤앨범발매 #하이든앨범발매 #클래식메타데이터 #클래식트랙제목 #작곡가크레딧 #AppleMusicClassical #classicalmusic #클래식장르선택 #클래식표기법 #IMSLP #Wikipedia #클래식앨범제목 #악장표기법 #오푸스번호
Orchard (오차드), Believe (빌리브), Muze (뮤즈), Musicspray (뮤직스프레이), Music Island (뮤직 아일랜드), Fluxus (플럭서스), Music Caroma (뮤직 카로마), KDM (케이디엠), Sound Republica (사운드 리퍼블리카), Purple Pine (퍼플 파인), Inplanet (인플래닛), The Vault (더 볼트), Wuzo (우조), Biscuit Sound (비스킷 사운드), Luminant (루미넌트), Sony (소니), Poclanos (포크라노스), Mirror Ball (미러 볼), Warner Music (워너 뮤직), Universal Music (유니버설 뮤직), Ingrooves (인그루브스), povu collective (포부 컬렉티브), danal (다날), KakaoEnter(카카오엔터)
RouteNote (루트노트), DistroKid (디스트로키드), Tunecore (튠코어), CD Baby (시디 베이비), AWAL (에이월), DITTO (딧토), Fresh Tunes (프레쉬 튠즈), Horus Music (호러스 뮤직),